top of page
Search

기억의 벽 El Muro de la Memoria : Una historia escrita juntos por Corea y México

Updated: Aug 1

ree
ree
ree

🇰🇷함께 쓰는 역사, 기억의 벽 El Muro de la Memoria  🇲🇽


En 1905, bajo el dominio imperial japonés, 1033 coreanos abandonaron su patria con la esperanza de un nuevo futuro. Jóvenes, fuertes, algunos formados en el ejército moderno, llegaron a Yucatán como trabajadores contratados en las haciendas henequeneras. Pero el destino no fue generoso. En 1907, perdieron su nacionalidad tras el Tratado Eulsa y quedaron apátridas. Años después, la Revolución Mexicana acabó con el sistema de haciendas y con sus empleos. Sin idioma, sin país, pero con dignidad, resistieron. Algunos migraron a Cuba, otros se quedaron, sembrando sus raíces en esta tierra. Su historia es también la historia de México. Una historia de lucha, silencio y memoria.


A pesar del trabajo forzado, la barrera del idioma y la soledad del exilio, los coreanos en Yucatán no olvidaron su patria. Fundaron una escuela llamada Sung Moo para preservar su identidad y, aunque eran simples obreros extranjeros, enviaron donaciones al gobierno provisional coreano en Shanghái. Echaron raíces en México, pero jamás dejaron de soñar con una Corea libre.


Con esfuerzo y esperanza, se integraron en la sociedad mexicana, fundando asociaciones como la de Mérida y la de descendientes coreanos en Yucatán. Hoy, 120 años después, Corea brilla en el mundo. Pero la historia de estos pioneros sigue desvaneciéndose, como pintura antigua en un muro olvidado. Este mural quiere devolverle color a esa memoria. Porque recordar también es un acto de justicia.


ree

In 1905, as the Russia-Japanese War ended and the Korean Empire teetered on collapse, 1033 Koreans left their homeland in search of a better future, arriving in the unknown land of Mexico. Most were young, unmarried men, selected for their physical strength and education—some even trained as modern soldiers. But instead of opportunity, they faced the harsh reality of indentured labor, language barriers, and isolation.


By 1907, Japan’s annexation of Korea invalidated their passports, leaving them stateless. Many lost work after the Mexican Revolution abolished the hacienda system. In 1921, around 300 left again for Cuba. Still, they preserved their identity. They built Sungmu, a community school, and sent aid to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despite their own poverty.


Though their roots took hold in Mexican soil, their hearts remained with Korea. Through resilience and unity, they integrated into Mexican society, founding organizations that endure to this day. Now, 120 years later, Korea has risen on the world stage, yet their story remains forgotten—faded like old walls. Their dreams, hardships, and devotion deserve to be remembered.


ree


1905년 러일전쟁에서 러시아가 일본에 항복을 선언했고 명성왕후는 왕국안에서 시해를 당한지 10년째 되던 해,  4월의 봄날, 바람 앞의 등불같았던 대한제국의 미래 앞에서 1033명의 한국인은 인천 제물포 항구에서 영국령의 화물선인 [일포드호 Ilford](一縷之布)’에 승선하여 한달이 넘는 항해끝에 계약농업노동자로 멕시코 유카탄의 프로그레소 항구에 도착했습니다.  이들은 체력과 교육수준등을 고려하여 10-20대 미혼남성이 우선으로 선발되었고 일부는 신식 군대에서 러시아식 훈련을 받았던 대한제국의 앳된 엘리트 군인 이었습니다.


고된계약노동과 언어장벽과 낯선 자연환경, 가난한나라에서 떠나온 젊은이들의 삶은 시대와 역사앞에서 녹록치 못했습니다. 이주 2년후인 1907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어 이들의 대한제국발행 여권은 무효가 되어 무국적자가 되었고 1910년-20년 동안의 멕시코 혁명전쟁으로 농장제가 폐지되자 이주 5년차, 언어가 부족했던 한국인들은 직장을 잃었습니다. 1921년 300여명의 한국인들은 쿠바로 2차 집단이주를 진행하기도 하였습니다.


외로웠던 타향의 삶 속에서도 이들은 자신을 떠나보낸 가난했던 조국을 기억하기위해 민족학교인 숭무학교를 세우고 가난했던 외국인노동자의 신분으로 상하이 임시정부에 민족성금을 보냈습니다. 뿌리는 멕시코 땅에 내렸지만 꿈에도 잊히지 않을 조국, 대한민국을 위해 그들은 생존하였습니다.


이들은 낯선 환경과 멕시코 혁명전 혼란속에서도 특유의 성실함과 더 나은 미래에 대한 강력한 의지로 스스로 멕시코사회에 구성원이 되었고 메리다지방회, 유카탄 한인후손회 라는 이름으로 디아스포라 공동체로써 멕시코 땅 속 한국인의 뿌리가 자라났습니다. 그 후손들은 지금도 멕시코 땅에 터를 잡고 사회의 구성원이 되어 살아가고 있습니다.


120년이 지난 2025년 현재, 수많은어려움과 역사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 한국은 세계로 나아갔고, 오늘날 전세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K-pop과 K-콘텐츠에 대한 사랑은 120년 전 운명에 모든 것을 걸고 이 땅에 도착한 1033명의 이민자들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들의 용기와 뿌리 내림이 있었기에, 오늘의 영광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들의 이야기를 기억하고 있을까요?  그들의 이야기는 여전히 조명되지 않은채, 기억속에 희미해져가는 박물관의 외벽처럼 빛이 바래져 가고 있습니다. 


Un mural público que honra las huellas de 1033 coreanos que llegaron a México hace 120 años. Después de una larga travesía en el barco británico Ilford, desembarcaron en el puerto de Progreso, Yucatán, para trabajar en condiciones duras como jornaleros en las haciendas henequeneras. En un México que se preparaba para la revolución, ellos enfrentaron un idioma desconocido, un clima abrasador y una vida incierta.


Sin embargo, no se quebraron. Con esfuerzo, dignidad y un profundo respeto por esta nueva tierra, formaron una comunidad y echaron raíces. Hoy, sus descendientes son parte viva de México. Son médicos, maestros, artistas, emprendedores. Son prueba de que cuando dos culturas se encuentran con el corazón abierto, nace algo hermoso. Este mural no solo recuerda el pasado.


también celebra la amistad entre Corea y México, la fuerza de la migración y el valor de la memoria compartida. Porque la historia de esos 1033 coreanos también es parte de la historia de México. Y en este muro, sus pasos siguen hablando.



ree

ree

The Wall of Memory is more than just a mural . It is a collective act of remembrance. Through your generous support, we are able to bring to life the hidden stories of the 1033 Koreans who arrived in Mexico 120 years ago, crossing the ocean with hope, only to face hardship and erasure. This mural is our tribute to them to their resilience, their silence, and their enduring spirit. It is also a bridge between past and present, between Korea and Mexico, between memory and action.


Your contribution is not just financial; it is a gesture of solidarity. By participating in this project, you become part of a shared history to community that believes art can heal, connect, and preserve what must not be forgotten. From the bottom of our hearts, thank you for standing with us. Together, we paint not only a wall but a legacy.



🇲🇽《기억의 벽》은 이민자들의 삶과 유산을 공공벽화로 새기는 프로젝트입니다. 🇨🇺

 

🇰🇷세계속의 한국은 이들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그들의 침묵을 기록하고 그 역사를 멕시코에 한국인이 처음으로 소유했던 역사적인 건물에 자리잡은 유카탄주 메리다시 멕시코 한국 이민사 박물관 Museo Commemorativo de la inmigracion Coreana ’ 리모델링의 일환으로, 이민자들의 삶과 유산을 박물관 외벽에 대형 공공벽화를 설치하는 프로젝트입니다.


한인 이민 120년의 이야기, 한국을 떠난 1033명의 발자취, 그리고 그 후손들의 삶을 담아 우리의 기억을 아름답고 영원한 시각 언어로 새기고자 합니다. 그들의 역사를 기록하고, 그 역사를 후손이 살아가는 멕시코의 거리 위에 되살립니다.



ree



🎨 왜 벽화인가요?  ¿Por qué un mural?


In Mexico and Latin America, murals are not just art . they are public memory. They speak where voices were silenced, and they tell stories where history was forgotten.


벽화는 단순한 장식이 아닙니다. 그 시대의 이야기, 사람들의 목소리, 침묵 속의 진실을 거리에, 공간에, 그리고 사람들의 마음속에 각인시키는 공공 예술입니다. 특히 멕시코를 포함한 중남미 라틴 아메리카 Latin America 에서는 벽화* Mural 은 단순한 미적 장식이 아닌 사회적 메세지를 전달하는 강력한 도구로 기능합니다.


멕시코혁명(1910-1920) 이후 문맹율이 높던 멕시코 국민에게 역사, 계급의 변화, 민족정체성 등을 시각적으로 전달하기위한 멕시코 공공벽화운동 Muralismo Mexicano 국민화가이자, 정치가, 프리다 칼로 Frida kahlo의 남편으로 알려져있는 디에고 리베라 Diego Rivera 를 중심으로 전개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벽화는 단 한 사람의 예술작품이거나 단순한 박물관 한벽을 위한 장식이 아닙니다. 우리 모두의 이야기, 한민족의 역사 앞에서, 조국을 떠나 지구반대편 이국 땅에서 뿌리내린 한국인의 이야기를 공공의 시선 속에 되살리는 한민족의 기억의 장이 될 것입니다.


Un mural no es solo una decoración. Es una forma de arte público que graba las historias de una época, las voces del pueblo y las verdades silenciadas en las calles, en los muros y en la memoria colectiva.


En América Latina y especialmente en México, los murales han sido herramientas poderosas para comunicar mensajes sociales. Tras la Revolución Mexicana (1910–1920), cuando gran parte de la población era analfabeta, surgió el movimiento del Muralismo Mexicano, liderado por el pintor y activista Diego Rivera ,esposo de Frida Kahlo. Este movimiento buscaba educar visualmente al pueblo sobre la historia, la lucha de clases y la identidad nacional.



💡 왜 지금 해야 하나요?  ¿Por qué Ahora?


2025년은 멕시코 한인 이민 120주년입니다. 이 시점에서 박물관의 리모델링과 공공 디자인 개선은 단순한 리뉴얼이 아니라 한민족의 집단 기억을 회복하고 다음 세대에게 공공 자산으로 남기는 상징적 행위입니다. 세계속의 한국은 이들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그들의 침묵을 기록하고 그 역사를 멕시코에 한국인이 처음으로 소유했던 역사적인 건물에 자리잡은 유카탄주 메리다시, Museo Commemorativo de la inmigracion Coreana 멕시코 한국 이민사 박물관의 벽면을 통해 다시 살아납니다. 


Hoy, a 120 años de la primera inmigración coreana a México, creemos que es el momento de volver a pintar la historia junto a la comunidad mexicana, y con los descendientes coreanos que han echado raíces en esta tierra. Este mural no solo honra el pasado; lo reescribe con memoria, solidaridad y arte.




Ellos hicieron historia en silencio. Ahora es nuestro turno de recordarlos. Súmate a esta memoria compartida. 🇰🇷


Be part of a shared history. This is a story of dedication, resilience, and the dream of a brighter tomorrow.



En 1905, mil treinta y tres coreanos pioneros llegaron a México. Esta serie de ilustraciones digitales, inspiradas en el dancheong coreano y en símbolos mexicanos, rinde homenaje a su valentía y a la amistad entre nuestras dos naciones. Más que una simple decoración, esta obra es un fragmento de historia y una ventana a nuestra identidad.


 🎨Available in various sizes with premium frame options.


 💡다양한 사이즈와 고급 액자 옵션으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 쓰는 역사, 그 특별한 이야기를 당신의 공간에 더해보세요.


Con marcos finos y disponible en varios formatos. Una obra que da vida a la memoria y sentido a tu espacio.



Compra aquí https://www.longbae.com/shop (Live chat available)



🏴‍☠️텀블벅후원 링크 바로가기: https://tumblbug.com/coreanamexico



ree

ree


🎁 후원자 리워드 


 • 한정판 프로젝트 아트워크 엽서 세트 • 디지털 프린트 포스터 • 후원증서 (현지방문 시) • 멕시코여행가이드북

 

작가 Long Bae (www.longbae.com) 

Long Bae는 한국과 하와이 출신의 시각예술가이자 스토리텔러입니다. 디아스포라적 시선으로 이주, 기억, 경계의 개념을 탐구하며, 회화, 벽화, 일러스트레이션, 애니메이션 Animation, 공공예술 프로젝트를 전개해 왔습니다. 그녀는 Surfer 로써 바다에서 배운 겸손과 자연에 대한 감사, 그리고 파도처럼 끊임없이 변하는 삶에 대한 경의를 작업 전반에 녹여냅니다. 한국과 아메리카 대륙의 역사와 문화를 연결하는 작업을 지속하며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중심과 주변의 경계를 넘나드는 시선으로 다문화적 정체성과 공동체의 기억을 독립적이고 직관적인 그녀만의 시각 언어로 풀어냅니다.
Long Bae es una artista visual y narradora de origen coreano y hawaii. Desde una mirada marcada por la diáspora, explora temas como la migración, la memoria y las fronteras a través de la pintura, murales, ilustración, animación y proyectos de arte público. Como surfista, incorpora en su obra la humildad aprendida del mar, la gratitud hacia la naturaleza y el respeto por una vida que, como las olas, está en constante cambio. Su trabajo conecta las historias y culturas de Corea y del continente americano, transitando entre tradición y contemporaneidad, Oriente y Occidente, centro y periferia. Con una voz visual independiente e intuitiva, Long Bae da forma a identidades multiculturales y a memorias colectivas que cruzan fronteras.

ree

 
 
 

Comments


상호명: 위아그린  사업자등록번호: 303-14-92008  대표자명: [배정민]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2-서울송파-0610호]  간이과세자 

■ 결제수단 안내  ※ 결제는 이니시스(INICIS) 전자결제 시스템을 통해 안전하게 처리됩니다. 신용카드 (VISA, Mastercard, 국내 카드 전용) 계좌이체 /가상계좌 /휴대폰 결제  

  • Facebook
  • Instagram
  • Youtube
  • LinkedIn
bottom of page